임의적 접근통제(Discretionary Access Control) : DAC
접근하는 주체의 신분에 따라 접근 권한 부여
장점: 쉬운 권한 변경, 상업적 용도로 많이 사용
단점: 하나의 주체마다 접근 권한을 일일이 부여
(1) 접근가능 목록(Capability List): 한 주체의 접근 가능한 객체와 권한 명시
(2) 접근통제 목록(Access Control List): 한 객체의 접근 가능한 주체와 권한 명시
(3) 접근통제 매트릭스(Access Control Matrix): 주체의 접근 허가를 객체와 연관
강제적 접근통제(Mandatory Access Control) : MAC
주체와 객체의 등급을 비교해 접근 권한을 부여
장점: 객체에 보안레벨 부여
단점: 시스템 성능 문제와 구현의 어려움으로 군사용으로 사용
(1) 주체 등급(Subject Clearance): 사용자, 주체의 보안레벨
(2) 객체 등급(Object Clearance): 데이터, 객체의 보안레벨
역할기반 접근통제(Role Based Access Control) : RBAC = Non-DAC
주체와 객체 사이에 역할을 부여해 다른 접근통제의 약점을 보완
장점: 주체의 인사이동이 잦은 조직에 적합
(1) 역할(Role): 주체를 대신해 권한을 부여
(2) 최소권한(Least Privilege): 역할에 대한 알 필요성에 따라 부여
'사이버보안 1학년 1학기 > CISS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허니팟(HoneyPot) (0) | 2014.06.12 |
---|---|
침입 방지/탐지 시스템(IPS와 IDS), 방화벽(Firewall) 설명 (0) | 2014.06.12 |
암호화 방식과 암호화 시스템 (0) | 2014.06.11 |
암호학(Cryptography)의 개념과 역사 (0) | 2014.06.11 |
Port(포트), TCP/UDP, MAC 주소 - simple (0) | 2014.04.22 |